



□ 재난유형별 홍보문구:“여름 무더위와 장마 대비 건강관리 철저!”
❏ 태풍·집중호우·낙뢰 시 주의사항
○ 이동 중 스마트폰 사용 자제, 주변 살피기
○ 되도록 밝은 옷을 입고, 맨홀 주변은 피하기
○ 낙뢰 시 평지의 키 큰 나무나 전봇대 가까이 가지 않기
○ 가급적 공사 현장 근처로 가지 않고 피하기
○ 소규모 교량이나 지하차도가 물에 잠긴 경우 피하기
❏ 폭염 시 주의사항
○ 장시간 햇빛 노출 시 자외선 차단제 바르기
○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자주 수분 섭취하기
○ 밀폐된 차 안에 혼자 있지 않기
○ 음식이 쉽게 변질 될 수 있어 조심하기
□ 온열질환 대비 보호자 행동요령
- 무더위 관련 기상 상황 TV, 핸드폰 등 수시로 확인하기
- 장시간 야외활동을 피하도록 하고, 시원한 곳에 자주 휴식하도록 지도하기
- 온열질환 증상* 발생 여부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하기
※심한 땀흘림, 구역, 구토, 두통, 어지러움, 의식 혼란, 호흡 곤란 등
- 더운 자동차 안, 밀폐공간에 어린이를 잠시라도 혼자 두지 않기
□ 온열질환 예방 건강수칙 3가지
○ 물 자주 마시기
-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 자주 마시기
○ 시원하게 지내기
- 샤워 자주하기
- 헐렁하고 밝은색의 가벼운 옷 입기
- 외출 시 양산, 모자 등으로 햇볕 차단하기
○ 더운 시간대에는 야외 활동 자제하기
- 기온이 높고 더운 시간대(13시~16시)에는 야외 활동 피하기
※ 자료출처: 질병관리청(https://www.kdca.go.kr/)
□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예방법 및 사례
○ 리튬이온 배터리 안전 상식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제품
- 스마트폰, 노트북, 전동킥보드, 전기 자전거, 전자 담배, 디지털 카메라,
블루투스 헤드셋/헤드폰, 장난감 등
사고 예방법
【 구 매 】
- 공식 인증된 제품 구매(KC인증 제품 )
【 사 용 】
- 사용 설명서에 따라 이용
- 파손된 배터리 사용 금지
- 이상 증상* 발견 시 즉시 사용 금지
* 이상한 냄새나 소리, 변색, 지나치게 뜨거운 열기, 모양 변형, 누출액
- 배터리를 올바르게 제품에 연결
【 충 전 】
-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탈출로(현관 등)에서 충전 금지
- 배게 아래, 침대나 소파 위에서 제품 충전 금지
- 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코드 뽑기 또는 배터리 연결선 제거
- 승용기계 등 고용량 배터리 충전은 벽면 콘센트에 직접 연결해서 충전
- 충전 중 자전거가 넘어지지 않도록 평평하고 건조한 곳에서 충전
【 보 관 】
- 보관 금지 장소: 영하 20℃ 이하 또는 40℃ 이상의 장소, 뜨거운 차 안, 액체,
직사광선, 어린 아이 손이 닿는 장소, 가연물 근처 또는 탈출로, 화재 위험장소
【 폐 기 】
- 배터리 재활용 수거함에 폐기(다 쓴 배터리를 모아 놓는 행위 금지)
○ 현장조치 요령
화재가 아닌 이상 증상 시 대응요령
☞ 즉시 배터리 사용을 중지하고 가능하다면 가연물이 없는 곳에 놓고 안전한 장소로 이동 후 119에 신고
○ 리튬이온 배터리 Q&A
Q. 리튬이온 배터리는 왜 가연성*인가요?
A. 작은 면적에 많은 에너지를 갖고 있어 문제 발생 시 에너지가 밖으로 나오면서 내부 물질을 가연성·독성 가스로 바꿀 수 있는 열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 불이 쉽게 발생하고 빠르게 진행하는 성질
Q.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원인은 무엇인가요?
A. ➊ 물리적 요소: 눌리거나 찍히는 경우, 물에 노출될 경우
➋ 전기적 요소: 과충전, 부적정한 충전기 사용
➌ 기타 40℃이상의 온도나 영하 20℃이하의 온도, 제품 결함 등
Q.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시 위험 요소는 무엇이 있나요?
A. 열, 연기, 독성가스 누출, 폭발 위험
Q. 리튬이온 배터리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알아야 할 내용은?
A. ➊ 국가 인증기관에서 안전하다고 표기된 배터리 구매
➋ 충전이 완료되면 코드 뽑기
➌ 제품에 맞는 적정 충전기 사용
➍ 배터리 이상 증상* 시 사용 금지
* 이상한 냄새나 소리, 지나치게 뜨거운 열기, 부풀어 오르는 현상, 변색
➎ 전문가에 수리 의뢰
Q. 배터리 보관 금지장소가 있을까요?
A. 영하 20℃이하 또는 40℃이상의 환경, 뜨거운 차 안, 직사광선, 액체, 어린 아이 손이 닿는 장소, 가연물 근처 또는 현관 등 탈출로, 화재 위험장소
Q. 화재 시 물을 사용하면 안되나요?
A. 배터리 내부 리튬은 순수 리튬금속이 아니라 리튬염 전해질로 물에 반응하지 않습니다.
Q. 리튬이온 배터리 폐기는 어떻게 할까요?
A. 배터리와 배터리가 내장된 제품은 일반 쓰레기통이나 재활용 수거함에 넣으시면 안됩니다. 폐기물 이동·매립, 재활용 공장에서 화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배터리 전용수거함에 버리셔야 합니다.
○ 사고 사례
전기 자전거/전기 오토바이
- 【과충전】 14시부터 전기자저거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21시에 퇴근했는데 그 이후에 과충전으로 배터리 폭발로 화재 발생
- 【외부 충격】 배터리 충전단자에 고무가 붙어 커터칼로 떼는 과정에서 스파크와 불길이 발생
- 【부적절한 보관 장소】 비온 후 처마 밑에 자전거를 세워 둬 빗물유입으로 인한 전기합선으로 추정
- 【외부 충격】 자전거 배터리 충전하려 이동 중 떨어트려 화재 발생
- 【외부 충격】 그라인더로 재활용품 수집 목적으로 배터리 팩 케이스를 분리하던 중 불꽃 발생
- 【외부 충격】 안장이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 부분에 나사를 박았을 때 가스가 새는 소리와 함께 연기 발생
- 【불법 개조】 일반자전거 구매 후 5년 전 전기 자전거로 개조
- 【부적절한 충전】 멀티탭을 이용하여 충전 중 배터리 팩 화재
- 【부적절한 연결】 전기 자전거 배터리 체결 도중 폭발하여 화상
- 【비인증제품 사용】 정품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아 발생한 화재로 추정
휴대폰
- 【비전문가 수리】 집에서 핸드폰 임의 분해 중 배터리에서 연기 발생
- 【부적절한 장소】 침실 침대 위에 충전 중에 화재 발생
- 【비전문가 수리】 침수된 휴대폰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바늘을 이용해 분해하다 화재
- 【외부 충격】 바닥에 휴대전화를 던졌는데 갑자기 폭발
전자 담배
- 【과충전】 충전시켜 놓고 방에 들어가 자는 사이 화재 발생
- 【부적절한 연결】 충전된 배터리를 전자담배 본체에 결착하는 도중 평하는 소리와 함께 기기 폭발
|